[요약]
1. Private subnet에 EC2 생성
2. Public subnet의 EC2를 통해 Private subnet의 EC2에 접속 (+ key pair 생성)
3. NAT Gateway 생성
NAT(네트워크 주소 변환) 서비스란 ? 프라이빗 서브넷의 인스턴스가 VPC 외부의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지만 외부 서비스에서 이러한 인스턴스와의 연결을 시작할 수 없도록 함
- NAT 게이트웨이는 인스턴스의 소스 IP 주소를 NAT 게이트웨이 IP 주소로 바꿉니다.
- 인스턴스에 응답 트래픽을 전송할 때 NAT 디바이스는 주소를 원래 소스 IP 주소로 변환합니다.
4. Route table 설정
5. Private subnet의 EC2의 외부 통신 테스트
Private subnet에 EC2 생성
- 이름 및 태그 : private-ec2-a1
-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 : 내 AMI
- 인스턴스 유형 : t2.micro
- 키 페어 : private key 생성
- 네트워크 설정
- lav-vpc
- private-subnet-a1
- 퍼블릭 IP 자동 할당 - 비활성화
- 보안 그룹
- 인바운드 보안 그룹 규칙 : ssh, HTTP, HTTPS AnyWhere
Public EC2를 통해 Private EC2 접속
: public ec2 a1은 private ec2 a1에 접속하기 위한 중개서버 역할을 하며 이를 bastion 서버라고 말함
public ec2에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private key 복사
public ec2에서 private ec2 접속
- "ssh -i ec2-private-seoul.pem ec2-user@10.1.3.32"
현재 외부와 통신이 안되는 상태 —> NAT Gateway를 통해 통신가능하게 만들 수 있음
NAT Gateway 생성
VPC>NAT 게이트웨이> NAT 게이트웨이 생성
- 이름 : nat-gw-a1
- 서브넷 : public-subnet-a1
- 연결 유형 : 퍼블릭
- 탄력적 IP 할당 ID : 자동 할당
Route Table 설정
private subnet 라우트 테이블에 NAT gateway 등록
: private subnet의 라우트테이블에 NAT gateway를 경로에 등록 하여 private-ec2인스턴스가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만듬
VPC > 라우트 테이블 > private-subnet-a1-rt 선택 > 라우트 메뉴 > edit 라우트 선택
Private subnet의 EC2의 외부 통신 테스트
결과 : private-ec2-a1 이 외부와 통신 가능
[참고 강의]
[인프런]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- 기본편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Application Load Balancer를 통한 이중화 네트워크 구성 (0) | 2023.03.15 |
---|---|
[AWS] Custom AMI를 통한 Public EC2 인스턴스 생성 (0) | 2023.03.15 |
[AWS] Public EC2 인스턴스 생성 및 LAMP 웹 서버 구성 (0) | 2023.03.14 |
[AWS] 기본 네트워크 환경 구성(VPC/Subnet/Internet/Gateway/Route Table) (0) | 2023.03.09 |
[AWS] 서버리스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(0) | 2023.03.07 |